예전에 외국인들과 인사하다보면 우리의 설날이나 추석과 관련해서 이야기를 꺼낼 때가 있었죠. 그러면 설날은 Chinese New Year라고 하고, 추석은 Korean Thanksgivingday라고 칭하면서 대화합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그냥 그렇게 인사를 주고받으면서 넘어가는데, 시간이 좀 난다든지 혹은 심사가 비틀린 날은 설날에 대해서 설명하기 시작합니다. 대략적인 내용은 이렇습니다.
==================================================================
과거에 우리는 지금 중국의 동쪽 해안지대, 북경이나 상해를 포함하는 비옥한 지역에 살고 있었고, 중국(中國)인들은 말 그대로 중앙(Center), 즉 척박한 산악지역에 살고 있었다. 그런데 중국은 인종이 뒤섞이면서 인구가 늘어나다보니 힘이 커져서 서서히 동쪽으로 진출하게 되고,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서서히 밀리다가 현재의 한반도(Korean Peninsula)에 들어와 거주하게 되었고, 일부는 아메리카 대륙으로 진출하였다.
중국은 우리가 살던 지역을 차지한 후에 잔류민들을 통해서 각종 문화도 흡수하게 되었고, 따라서 음력을 받아들여 현재 음력 새해 첫날이 Chinese New Year라고 불려지게 만들었고, 우리 선조들이 만든 문자도 자신들의 것으로 받아들여 현재 한자(漢子)라는 명칭으로 불려지고 있다.
한자가 우리 조상들이 만든 문자라는 것은 그 사용법을 보면 명확한데, 우선 우리는 한 글자 당 한 음절인데 반해서, 중국은 한 글자 당 1 ~ 3 음절이라는 불규칙적인 발음을 해야 하고, 둘째로 우리는 부수를 기준으로 유사한 발음을 유지하는데 (예: 靑, 淸, 請, 晴, 凊 모두의 발음이 '청'이다) 중국은 그것이 안되어 있다. 셋째로 상형문자의 특성 상 문자의 발음과 뜻이 연관성이 있어야 하는데, 둘째 이유에서 보듯이 우리는 관련성이 높지만, 중국어로는 관련성이 없다. 그 결과로 현 시대에도 우리가 한글로 한자를 배우는 것이 중국인이 중국어로 한자를 배우는 것보다 더 유리하다.
학자들은 일본의 문자 또한 우리가 사용하다가 넘져준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문자를 만들 재주가 있는 종족만이 그것을 개선할 능력이 있기에, 우리가 '이두'라는 문자를 만들어 사용하다가 이를 일본에 전파해줬고, 그리고 우리는 더 이상 그것을 사용하지 않는데, 일본은 새로운 문자 체계를 만들 능력이 안되기에 여전히 거기에 빠져서 허덕이고 있다.
====================================================================
뭐, 대충 이런 내용으로 한자가 우리의 언어임을 설명하면서, 그 유산을 물려받은 중국이 현재 문자때문에 고생하고 있다는 것과, 우리는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을 사용하기에 문맹자가 없고 컴퓨터 키보드 작업이 영어 알파벳보다도 더 용이하다는 점을 설명하면, 외국인들은 대부분 아주 재미있어 합니다. 그런 연장선 상에서 '설날'이 우리 고유의 문화임을 설명하였지만, 이미 통용되고 있는 Chinese New Year를 구태여 Korean New Year로 바꾸려고 시도하지는 않았습니다. 인식만 심어주려고 했죠.
외국인들과 그런 대화를 하다보면 아주 뿌듯해질 때가 있죠.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의 위대함도 저절로 느껴지고요.
과거에 중국이나 일본이 자신들의 문자를 바꾸려고 검토하다가 그 사회적 비용이나 저항 극복 등 후속 과정이 감당할 정도가 안된다고 판단해서 검토만 하고 그쳤는데, 그 당시로는 그게 별 문제가 안되었을 수도 있지만, 정보화 사회가 되고 난 현재의 시점에서 다시 생각해보면, 현재의 문자체계를 유지하기에는 그 사회적 비용이 감내할 정도의 수준이 아니기에 좋은 기회를 놓쳤던 거죠.
세종도 한글을 반포하려고 했을 때, 무수한 저항을 받았었죠. 흔히 말하는 기득권자들의 반항. 그렇지만 세종은 그것을 이겨내어 반포하였고, 그 결과로 그렇게 반항하던 기득권자들의 후손인 우리가 그 혜택을 누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생각하다보면 현재의 시국이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공수처 설립과 기득권자들의 반항.
흔히 적폐라고 불리우는 조폭집단 검찰과 사이비 양심집단 법원, 매국노 집단인 기레기들, 그리고 그런 것들에 의지해서 살아남으려고 하는 일부 국회의원과 정치인들이 한사코 저항하고 있기에 여전히 공수처 출범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저는 흔히 말하는 일개 민초지만, 나름대로 제 자신이 저질렀던 부정행위에 대한 수많은 고뇌와 후회를 하였고, 어떤 행위에 대한 판단기준을 "그 행위의 결과가 100년 후에 우리 후손에게 어떻게 나타날지"에 두려고 노력합니다.
그런데 국민의 세금으로 먹고사는 검사, 법관, 국회의원이라면 저같은 민초보다 더 멀리 보려고 노력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세종이 5백 몇십 년 후의 컴퓨터 시대를 예상하지는 못했겠지만 자신의 판단 기준을 '국민의 편의'에 두었듯이, 국민의 세금으로 특권을 누리는 검찰, 법관, 국회의원이라면 100년 후를 내다보지 못하더라도, 최소한 국민 전체의 이익에 부합하는 쪽으로 행동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어쨌든 빠른 시간 내에 공수처법이 통과되기를 기원하면서, 한글날의 소회를 마무리합니다.
'소소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과 함께 집에 (0) | 2021.03.13 |
---|---|
신과 함께하는 영적 교감 (0) | 2021.03.07 |
코로나 정국과 개신교 신자들 (0) | 2020.09.01 |
수영 교육을 회상하며... (0) | 2020.08.07 |
텃밭 (0) | 2020.08.01 |